본문 바로가기
공부/MONEY

LG CNS, 주가 하락 원인

by 니똣 2025. 3. 7.
반응형

 

 

LG CNS는 2025년 2월 5일 코스피 시장에 상장하며 많은 기대를 모았습니다. 그러나 상장 이후 주가는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습니다.

 

LG CNS의 주요 사업은 컨설팅, 시스템 통합 및 유지보수, IT 아웃소싱, 솔루션/플랫폼 사업 등으로, 2025년 2월 5일 코스피 시장에 상장하였습니다. 상장 전 수요예측에서 국내외 기관 총 2,059곳이 참여하여 11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였고, 이에 따라 공모가는 희망 공모가액의 최상단인 61,90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일반 청약에서도 122.9대 1의 경쟁률을 보이며 총 21조 1,441억 원의 청약 증거금을 모았습니다.

 

주가 하락의 주요 원인

1️⃣ 기관 투자자의 낮은 의무보유확약 비율

LG CNS의 기관 투자자 의무보유확약 비율은 21.26%로, 이는 최근 상장한 기업들 중에서도 낮은 수준입니다. 이는 기관들이 장기 보유보다는 단기 차익 실현에 집중했음을 시사하며, 이에 따른 매도 압력이 주가 하락을 유발한 것으로 보입니다.

 

2️⃣ 높은 구주매출 비중

이번 공모에서는 총 1조 1,994억 원을 조달했으며, 이 중 구주매출이 968만 8,595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일반적으로 구주매출 비중이 높을 경우, 시장에서는 기존 주주들이 차익 실현을 목적으로 매도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하여 주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구분 주식 수량 지분율 금액 비고
2020년 4월 인수 3,051만 9,074주 35% (공모 전) 1조 300억 원 맥쿼리PE가 인수
IPO 구주매출 968만 8,595주 10% (상장 지분율) 6,000억 원 상장 과정에서 매각
잔여물량 2,083만 479주 21.50%(상장 지분율) - 6개월 후 보호예수 해제

 

LG CNS의 2대 주주인 맥쿼리자산운용(맥쿼리PE)은 2020년 LG CNS 지분 35%를 약 9,500억 원에 인수하였습니다. 이번 IPO에서 맥쿼리PE는 구주매출로 약 6,000억 원을 회수하였으며, 이는 투자금 회수(엑시트) 목적이 강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러한 맥쿼리PE의 엑시트 전략은 시장에서 구주매출 비중이 높다는 우려를 낳았으며 이는 투자자들의 신뢰 저하로 이어져 주가 하락의 한 요인으로 작용하였습니다. 특히, 구주매출은 회사로 공모 자금이 유입되지 않고 기존 주주에게 돌아가기 때문에 IPO 흥행 가능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구주매출 : 대주주나 일반주주 등 기존 주주가 이미 보유하고 있는 주식지분 중 일부를 일반인들에게 공개적으로 파는 것을 말한다

 

3️⃣ 기존 주주들의 매도(오버행 이슈)

LG CNS는 상장 전 비상장 시장에서 9~11만 원대에서 오랫동안 거래되었습니다. 상장 후 더 높은 가격을 기대했던 기존 주주들이 매도에 나서면서 주가 하락 압력을 받았습니다.

또한, 맥쿼리PE는 구주매출로 수천억원의 이익을 남겼지만 잔여 지분은 6개월 뒤 의무보유확약이 해제되면서 추가 매도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오버행 : 주식시장에서 매물로 나올 수 있는 잠재적인 과잉물량

 

향후 전망과 투자자 대응 전략

LG CNS는 AI, 클라우드 등 디지털 전환 분야에서 강점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분야는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현재 주가 하락은 앞서 언급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입니다. 투자자들은 다음과 같은 전략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장기적 관점 유지 : LG CNS의 핵심 사업 분야는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으므로, 단기적인 주가 변동에 일희일비하기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를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 수급 동향 주시 : 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들의 수급 동향을 면밀히 관찰하여 매매 시점을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재 기관 매수세가 증가하고, 외국인 매도세도 멈춘 상태입니다.
  • 사업 확장 및 실적 개선 여부 확인 : LG CNS의 향후 사업 확장 계획과 실적 개선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투자 판단의 근거로 삼아야 합니다.

LG CNS의 상장 후 주가 하락은 기관 투자자의 낮은 의무보유확약 비율, 높은 구주매출 비중, 기존 주주들의 매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회사의 핵심 사업 분야인 AI와 클라우드 등은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으므로, 투자자들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가치를 재평가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수급 동향과 사업 확장 계획 등을 면밀히 관찰하여 현명한 투자 결정을 내리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