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MONEY

2025년 업그레이드 된 청년도약계좌, 한눈에 보기!

by 니똣 2025. 2. 26.
반응형

청년도약계좌 혜택 이미지

 

오늘은 정부 지원 상품인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들이 5년간 꾸준히 저축하면, 정부의 지원금과 이자를 함께 받아 최대 5,000만 원 이상의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금융상품입니다. 2025년부터는 기존보다 더 강화된 혜택과 유연한 조건으로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1. 2025년 새로워진 청년도약계좌

◾  정부 기여금 지원 확대

기존

개인소득 (연소득, 총급여) 월 최대 기여금
2,400만 원 이하 24,000원
2,400만 원 초과 ~ 3,600만 원 이하 23,000원
3,600만 원 초과 ~ 4,800만 원 이하 22,000원
4,800만 원 초과 ~ 6,000만 원 이하 21,000원

 

2025년

개인소득 (연소득, 총급여) 월 최대 기여금
2,400만 원 이하 33,000원 (+9,000원)
2,400만 원 초과 ~ 3,600만 원 이하 29,000원 (+6,000원)
3,600만 원 초과 ~ 4,800만 원 이하 25,000원 (+3,000원)
4,800만 원 초과 ~ 6,000만 원 이하 21,000원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이미지
월 70만 원 납입시 기여금 지급액 비교

 

소득 구간별로 정부의 매칭 지원금이 월 최대 2만 1천 원~ 3만 3천 원까지 확대되었습니다. 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추가 납입한 금액에 대해 매칭 비율 3.0%를 적용하여 기여금을 지급합니다.(연 최대 9.54% 일반적금상품의 가입효과)

 

 중도해지 시 혜택 강화

기존

  • 만기 도래 전 중도해지 시 비과세 미적용, 기여금 환수(단, 특별중도해지 사유 해당 시 지원 유지)

2025년

  • 만기(5년) 도래 전이라도 3년 이상 유지한 후 중도해지하는 경우, 비과세 혜택은 그대로 유지되고 정부 기여금의 60%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연 최대 7.64%의 일반적금 상품 가입효과)
  • 결혼, 출산, 생애 첫 주택 구입 등의 사유로 중도해지 시에는 언제든지 혜택을 유지한 채 해지가 가능합니다.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 부여

기존

  • 가입 유지 기간에 따른 별도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 없음
  • 마이데이터 등을 통해 별도로 납입정보 제공 필요

2025년

  • 2년 이상, 총 800만 원 이상 납입한 경우 개인신용평가점수에서 최소 5~10점의 가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KCB, NICE 기준)
  •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청년도약계좌 납입정보 자동 연결

 

 부분 인출 서비스 도입

기존

  • 만기 전 부분인출서비스 이용 제한

2025년

  • 가입 후  2년 이상 유지한 경우, 납입원금의 40% 이내에서 부분 인출이 가능합니다.

 

2. 가입대상조건

[ 나이 ]

계좌개설일(가입일) 기준 만 19세 ~ 34세 이하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나이 계산 시 빼고 계산)

 

[ 소득 ]

개인 소득 : 직전 과세기간의 총 급여액 7,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6,300만 원 이하

                 (단, 육아휴직급여(육아휴직수당), 군 장병급여 외에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

 

가구 소득 :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가구원은 청년 본인과 본인의 주민등록표 등본상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자매(미성년자)를 기준으로 판단)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 연도 소득으로 인정

 

3. 신청 방법 및 유의 사항

[ 신청 기간 ]

  • 청년도약계좌는 정부에서 진행하는 상품이기에 신청 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 가입 및 심사절차 ]

청년도약계좌 이미지

  • 매월 : 가입신청 - 취급은행 앱
  • 신청 후 약 2주 : 가입심사 – 서민금융진흥원
  • 익월 초 : 계좌개설 - 취급은행 앱

[ 유의 사항 ]

  • 취급은행을 통틀어 1명당 1개의 계좌만 가입 가능
  • 현재 청년희망적금을 가입 유지하고 있는 경우 가입 불가능
  • 가입일 현재 직전 과세기간의 금융소득종합과세가 확정되지 않아 전전 과세기간까지만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여부가 확인된 경우, 직전 과세기간의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로 확인되는 시점부터 납입중지

 

2025년 개편된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에 큰 도움이 되는 제도로, 강화된 혜택과 유연한 조건을 통해 더 많은 청년들이 안정적인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반응형